5년 후 한국의 9대 주력산업 가운데 반도체를 제외한 나머지 사업은 중국에 뒤처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의 9대 수출주력산업별 협회 정책담당자를 대상으로 ‘한중일 세계시장점유율’을 조사한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0년 한중일 3국 간 1위 산업 개수는 일본 6개, 한국 2개, 중국 1개였으나 현재는 중국 7개, 한국 1개, 일본 1개가 됐고, 5년 후인 2024년 말경에는 중국 8개, 한국 1개, 일본 0개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철강, 조선, 자동차, 전자 등 한국의 주력산업은 20여년 전 일본의 주력산업이었지만, 현재와 미래에는 중국이 압도적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기술력을 100으로 가정하고 3국의 9대 주력업종 기술경쟁력을 비교할 경우, 2000년에는 일본 113.8, 중국 59.6으로 일본의 기술력이 상당한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6월 현재는 일본 102.8, 중국 79.8로 3국간 기술력 격차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5년 후의 경우는 일본 97.4, 중국 89.1로 격차가 더욱 줄어든 가운데 한국의 기술력이 비교우위를 점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000년에는 한국의 59.6% 수준에 불과했던 중국의 기술력이 2024년에는 89.1%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9대 산업 중 무선통신기기(96.3%), 철강‧디스플레이(91.7%), 자동차(91.3%), 섬유(91.1%), 선박(90.9%) 등 6개 산업은 5년 후 한국 기술력의 90%까지 추격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은 5년 후 종합 기술경쟁력에서는 우리나라에 비교해 소폭 뒤처질 것으로 보이나, 자동차(117.4%), 섬유(116.3%), 석유화학(108.3%), 일반기계(107.1%) 등에서는 여전히 우위에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기술경쟁력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일본이 제품설계경쟁력, 소재경쟁력, 부품경쟁력, 조립가공경쟁력, 공정관리경쟁력 등 관련 전분야에서 우위를 점했다.

한국과 일본의 기술격차 폭은 ▲소재경쟁력 27.3 ▲부품경쟁력 22.8 ▲공정관리경쟁력 9.0 ▲제품설계경쟁력 7.0 ▲조립가공경쟁력 3.0 순으로, 특히 소재‧부품분야의 기술격차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종합 환경은 한국을 100을 놨을 때, 중국 100.1, 일본 110.5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일본은 ▲기초과학경쟁력 127.3, ▲산학연 협력수준 107.3 ▲인력수준 106.8에서 비교우위를 나타냈다.

중국은 ▲정부지원 수준 133.9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고, ▲CEO관심도 106.4에서도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R&D 분야에서 1위인 항목은 하나도 없다.

업종별 협회 정책담당 부서장들은 “한국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R&D 활성화를 저해하는 규제개혁이 가장 시급하다”며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인력 양성, 산학연 협력 활성화, R&D 정부지원 강화 등도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사진제공=한국경제연구원)

 

 

 

저작권자 © 팩트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