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인뉴스=박세현기자]투자 주체인 기업이 저축 주체로 알려진 가계보다 더 높은 예금 증가율을 보였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예금은행의 기업예금 잔액은 425조8천778억원으로 전년 대비 6.8% 증가했다.


기업예금이 400조원을 돌파한 것은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가계 은행예금 잔액은 618조4천422억원으로 3.1% 증가율을 보였지만 기업예금 증가율보다 3.7%포인트 낮은 수준이었다.


이론적으로는 전체 경제에서 가계를 저축의 주체로 평가하고 있다. 금융기관이 가계 저축으로 자금을 조달하면 투자 주체인 기업이 이를 빌려 생산시설 확충이나 건물 건설 등에 사용하는 형태다.


그러나 지난 2015년부터 기업예금 증가율이 가계예금 증가율을 앞서면서 이 같은 이론이 성립되지 않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기업예금은 지난 2014년 3.4%에서 2015년 8.3%로 증가 폭이 커졌다.


같은 기간 가계예금 증가율은 5.7%에서 5.4%로 소폭 하락하며 가계와 기업 예금 증가율 간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지난 2016년에는 기업예금 증가율이 10.2%로 급등했으나 가계 증가율은 3.8%로 하락하며 역전 폭이 크게 벌어졌다.


이듬해인 2017년 들어서는 기업예금과 가계예금 간 증가율 격차가 0.7%포인트로 좁혀지는 듯했지만 지난해 다시 폭이 벌어졌다.


특히 2000년대를 돌이켜보면 기업예금 증가세는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 2000년 전체 은행예금 중 기업 비중이 26.0%였던 데 반해 작년에는 30.5%로 뛰었다.


반대로 가계예금 비중은 59.8%에서 44.3%로 줄었다.


기업의 소득은 늘고 있지만 투자나 임금, 배당으로 환류되지 못하는 것이 기업예금 증가율 상승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는 평가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중 기업은 지난 2000년 14.2%의 비중에서 가장 최근 자료인 2017년에는 20.2%로 비중이 늘어났으나 가계는 62.9%에서 56.0%로 비중 하락을 보였다.


일각에선 가계의 경우 대출을 받아 부동산 등 실물자산에 자산을 묶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으며 고령화 등으로 저축 통계로 잡히지 않는 보험사 퇴직 연금을 늘리는 추세이기 때문에 기업예금 비중 확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아울러 이 같은 기업예금 증가 현상은 국내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미국 비영리 민간연구단체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지난 2017년 보고서를 통해 1960년부터 2013년까지 전 세계 66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980년께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0%에 못 미치던 글로벌 기업저축이 2010년대에는 15% 가까이 상승했다고 전했다.


30년 동안 GDP 대비 기업저축 비율은 약 5%포인트 올랐지만 가계저축은 GDP 대비 6%포인트 가까이 하락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이익이 증가한 만큼 배당금 지급이나 투자 등은 늘지 않았고 기업저축 일부가 자사주매입이나 사내유보 등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세대 김정식 교수는 “기업저축이 늘어나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 투자 대상을 찾지 못해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는 것으로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라며 “신성장 산업 육성 등 새로운 산업 정책으로 기업 투자를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출처=한국은행]


저작권자 © 팩트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