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외교통상부 등에 따르면, 유엔을 방문중인 김성환 외교부 장관은 2월 안보리 의장국을 맡은 한국 정부를 대표해 발표한 안보리 언론 성명에서 “북한 핵실험을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안보리는 중대 조치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대북 제재를 위한)결의 채택 논의에 즉각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보리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약 2시간가량 비공개 전체회의를 진행한 끝에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의 대응 방안을 이 같은 내용의 언론성명으로 합의키로 결정했다.


안보리는 김 장관을 통해 발표한 언론성명에서 “북한 핵실험은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명백한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관련, 지난 1월 채택한 안보리 결의 2087호에서 핵실험 등 추가 도발 시 ‘중대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한 것과 관련이 있다.


김성환 장관은 이날 비공개 전체회의가 끝난 뒤 “안보리 이사국들이 북한의 핵실험이 기존 안보리 결의를 심대하게 위반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며 “안보리가 북한의 도발에 상응하는 적절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전 라이스 유엔 주재 미국 대표부 대사 역시 이번 사안에 대해 “북한의 핵실험은 참을 수 없는 도발로, 안보리 15개 이사국들은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제재 논의를 즉시 시작한다”며 “북한은 3차 핵실험으로 가중된 고립과 국제사회의 압력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라이스 대사는 북한에 대한 금융 제재 여부를 묻는 질문에 “모든 형태의 제재가 논의될 수 있다”며 “안보리가 북한의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저지할 수 있는 결의를 통과시켜야만 한다”고 말했다.


안보리 이사국 대부분이 강력한 대북제재에 찬성표를 던지는 만큼, 이번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한 안보리 차원의 제재 논의가 곧 본격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북 제재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 왔던 중국이 어떠한 입장을 표출하느냐에 따라 이번 대북 제재의 시기와 수위 등이 결정될 것으로 예측된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12일(현지시간) 오후 성명을 통해 “북한이 국제사회의 폭넓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핵실험을 강행했다”며 “중국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핵확산을 방지를 통한 동북아 평화 수호를 지지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중국 외교부는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지키고 사태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행동에 나서지 말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는 입장을 전했으나 성명에서 북한에 대한 위협, 제재, 보복 등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삼가 미온적인 태도를 유지했다./사진=뉴스1


저작권자 © 팩트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